Research Article

Journal of Agricultural, Life and Environmental Sciences. 31 December 2021. 250-261
https://doi.org/10.22698/jales.20210025

ABSTRACT


MAIN

  • 서 론

  • 재료 및 방법

  • 결과 및 고찰

서 론

상추종류 중 하나인 결구상추는 양상추 혹은 통상추라고도 불리며(Kim et al., 2004a),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상추의 총 재배면적은 2019년 기준 3,629 ha로 총 생산량은 95,582 ton이라고 한다. 섭취의 편이성과 함께 웰빙식품으로 알려진 결구상추는 유럽과 미국 등에서도 수요가 증가해 소비자층도 다양화되고 있으며(Cha et al., 2007; Youn et al., 2008), 잎도 부드러워 주로 샐러드에 많이 이용되고 있어 엽채류 중에서 비교적 높은 생산량으로 향후 소비가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품목 중 하나이다(Ragaert et al., 2004; Bark et al., 2015).

하지만 수확 후 부적절한 저장조건에서 이취, 짓무름, 갈변현상 등이 발생하여 품질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Kim et al., 2012). 이 중 결구상추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갈변현상은 phenylalanine ammonia lyase의 효소작용으로 인해 L-phenylalanine이 trans-cinnamic acid으로 전환되는 phenylpropanoid pathway로 시작된다(Jung et al., 2008). 이후 결구상추에 형성되는 상처 및 에틸렌 가스에 의해 phenylpropanoid pathway가 촉진되어 제2차 효소작용을 유발해 페놀화합물이 축적되게 된다(Ke and Saltveit, 1989). 이렇게 축적된 페놀 화합물은 Polyphenol oxidase와 반응하여 산화하게 되는데 이때 생성되는 것이 갈변색소의 전구물질인 quinone이다(Takahashi et al., 1996). 위와 같은 과정으로 발생하게 되는 갈변현상은 상품의 shelf-life와 소비자의 시각적인 상품가치를 판단하게 되는 요인으로 작용된다(Jung et al., 2008).

이를 지연시키기 위해 열처리(Mikal et al., 2008), 저온저장(Bolin and Huxsoll, 1991), CA 및 MA포장 등 다양한 연구(Heimdal et al., 1997; Lopez-Galvez et al., 1996)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Lee et al.(2006)은 엽채류의 저장성을 유지하는데 포장이 효과적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그 중 Modified atmosphere(MA) 포장은 포장된 작물의 지속적인 호흡으로 인해 품질유지에 적합한 산소와 이산화탄소 농도가 만들어지도록 적절한 산소투과율을 갖는 필름으로 포장한 포장방법을 말한다(Jacxsens et al., 2002). 이와 같은 MA 포장은 포장 내 계속되는 호흡으로 산소의 감소와 이산화탄소의 증가로 호흡을 지연시키고 필름포장의 특성을 가져 작물의 수분소모와 증산작용을 억제하여 간접적인 shelf-life 연장효과를 보인다(Jung et al., 2008; Yang et al., 1991). 또한 MA 포장하는데 있어 작물에 따른 적합한 OTR 필름을 선택하는 것이 품질과 shelf-life를 개선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Kim et al., 2004b). 실제로 현재 다양한 산소투과율의 OTR 필름을 사용하여 다양한 작물에 알맞은 필름을 구명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다(Choi et al., 2020; Hwang, 2018). 하지만 MA포장 시 포장 내 적정수준 이하의 산소, 이산화탄소 농도는 이취와 고이산화탄소로 장해를 일으킬 수 있으며 적정수준 이상의 산소농도는 갈변이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도 있다(Kim et al., 2005; Smyth et al., 1998).

따라서 본 연구는 포장방법 및 다양한 산소투과율을 가진 필름이 결구상추의 품질과 저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공시재료는 경북 성주에서 11월 24일에 수확하여 골판지 상자에 포장되어 상온 수송된 결구상추(‘유니온’, 권농종묘)을 사용하였으며, 2°C(80 ± 5%RH) 저온고에서 25일 동안 저장하였다. 관행 포장방법인 골판지 상자 및 유공필름을 대조구, MA포장은 레이저 가공하여 산소 투과도 조절이 가능한 1,300, 40,000, 80,000 cc·m-2·day-1·atm-1 OTR(Oxygen transmission rate) 필름을 사용하였으며, 처리구별 5개의 결구상추를 사용하였다. 조사항목은 저장 중 생체중 감소율, 포장 내 산소, 이산화탄소, 에틸렌 농도 및 외관, 저장 최종일에 경도, 색도, 이취, 갈변도, DPPH 라디컬 소거능 및 비타민 C를 조사하였다.

저장 중 생체중은 5일마다 초기 생체중에서 감소하는 생체중을 백분율로 나타냈다. 포장 내 산소 및 이산화탄소 농도는 infrared single beam sensor(Checkpoint3, AMTEK mocon, USA), 에틸렌 농도는 gas chromatography(GC-2010, Shimadzu,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외관은 저장 시작일부터 최종일까지 5명의 패널에 의한 관능평가로 조사하였는데, 저장 초기 가장 양호한 상태를 5점, 판매가능한 상태를 3점, 완전폐기 수준의 상태를 1점으로 하였다(Choi et al., 2015).

저장 최종일 경도는 Sun Rheo Meter Compac-10011(Sun Scientific Co., Ltd., Tokyo, Japan)로 직경 ∅8 mm stainless steel probe를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단위는 N(Newton)으로 표현하였다. 색도는 색차계(CR-400, Konica minolta, Japan)를 이용하여 Hunter L*, a*, b*값을 나타냈으며, 이취는 느끼지 못하는 수준을 0점, 매우 강한 수준을 5점으로 하였다(Choi et al., 2015). 갈변도는 기존 보고된 상추의 겉잎과 속잎의 화학물질 및 항산화 함량이 다르다는 내용을 참고하여(Ozgen and Sekerci, 2011) 겉잎과 속잎으로 구분하였으며, 잘게 자른 후 2 g을 취한 후 20 mL 증류수를 첨가하여 35°C로 항온조건에서 2시간 동안 추출하여 분광 광도계(Biomate 3S, Thermo Scientific, USA)로 420 nm의 흡광도에서 측정하였다(Kim et al., 2012). DPPH 라디컬 소거능 및 비타민 C 또한 겉잎과 속잎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는데, DPPH 라디컬 소거능은 Oboh(2005)의 방법에 준하여 생체시료 0.5 g에 메탄올 20 mL를 첨가해 균질화 후 균질 시료 0.8 mL와 0.4 mM DPPH 메탄올 용매 0.2 mL를 섞어 30분간 암조건에 방치한 후 분광 광도계(Biomate 3S, Thermo Scientific, USA)로 516 nm의 흡광도에서 측정하였다. DPPH 라디컬 소거능은 백분율로 표현했으며 아래와 같은 공식을 적용하여 계산하였다.

DPPH Radical scavenging ability (%) = [1 − (Sample A516 nm/Blank A516 nm)] × 100

비타민 C 분석의 전처리 과정은 Hwang et al.(2000)의 방법에 준하였으며, 생채시료 2 g에 5% metaphosphoric acid 18 mL를 첨가한 후 90초간 분쇄하여 15,000 rpm, 15분, 4°C로 설정한 원심분리기를 이용해 상등액을 취한 후, 0.2 μm PTFE membrane filter로 여과한 다음 분석용액으로 사용하였다. ZORBAX Eclipse XDB-C18(4.6 cm × 250 nm, 5 μm, Agilent, USA)를 분석용 칼럼으로 사용하였고, 검출기 Waters 2489 UV/Visible Detector(Waters, Milford, MA, USA), 자동 시료 주입기 WatersTM 717 plus autosampler(Waters, Milford, MA, USA), 용매이송장치 WatersTM 600 pump(Waters, Milford, MA, USA), 컨트롤러 Waters 600 controller(Waters, Milford, MA, USA)를 장착한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HPLC)로 265 nm에서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Li and Chen(2001)의 방법에 준하여 20 μL를 시료 주입량으로 설정하였고 100% MeOH : 0.1 M KH2PO4를 1:9로 혼합한 이동상으로 1.0 mL·min-1 의 유속으로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Microsoft Excel 2016 program 및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4 program을 이용하여 던컨의 다중범위검정과 표준편차로 각 처리구간의 유의성을 검정하였다.

결과 및 고찰

최종일에 생체중 감소율은 골판지 상자에서 12% 이상으로 가장 높았는데, 기존에 보고된 저장 중 결구상추 생체중 감소 범위인 5%를 현저히 넘는 수치이다(Kays and Paull, 2004). 유공필름포장은 1%수준, 그리고 MA포장 처리구들은 0.09% 미만으로 처리구간의 차이는 없었다(Fig. 1). 일반적으로 저장중 생체중 감소율은 포장의 밀폐수준이 높을수록 낮아지는데(Lee et al., 2008a), 본 연구의 필름포장 처리구 내에서는 산소투과율이 낮은 1,300 cc와 40,000 cc OTR 필름에서 0.00%로 가장 적게 감소했으며, 유공필름에서 0.95%로 가장 높은 감소율을 보였다. 개별 랩핑이 포장 내 호흡과 수분증발을 억제하여 낮은 증산작용으로 생체중 감소가 적었으며(Bark et al., 2015; Lee et al., 2006), Chang and Lee(2017)은 개별 랩핑한 결구상추가 적은 증산작용으로 골판지상자에 저장했을 때보다 저장 최종일 2.8% 낮은 생체중감소율을 보였다고 하였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ales/2021-033-03/N0250330302/images/ales_33_03_02_F1.jpg
Fig. 1.

Change in fresh weight loss rate of head lettuce packed with 1300 cc, 40,000 cc, and 80,000 cc oxygen transmission rate films; with perforated film; and in a corrugated box and stored for 25 days. Vertical bars represent ± SD (n = 5).

상추의 MAP 권장 가스조성은 산소 2-5%, 이산화탄소 0%로 보고되어 있다(Powrie and Skura, 1991; Exama et al., 1993). 본 연구에서 저장 중 초기농도보다 감소하는 산소농도와 증가하는 이산화탄소 농도는 Hwang(2018)의 보고에서 신선편의 양상추의 MA저장 중 기체조성 변화와 같은 경향을 보였다. 포장 내 산소 농도는 19.1% 내외였고(Fig. 2), 이산화탄소는 1,300 cc를 제외한 나머지 MA포장 처리구에서 1% 이하의 농도를 저장 종료일까지 유지하였다(Fig. 3). 일반적으로 잎채소의 에틸렌 발생율은 0.01-0.1(μL/kg·hr at 20°C)로 매우 낮다고 보고되어 있다(Kader, 2002). 본 연구의 포장 내 에틸렌 농도는 모든 처리구가 20일까지 서서히 증가하다가 저장 최종일인 25일에 1.4 μL/L-1이하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Fig. 4). Islam et al.(2019)의 보고에서도 어린잎 상추를 MA 저장했을 때, 포장 내 에틸렌 농도가 5일까지 증가하다가 저장 최종일인 30일에 1.0 μL/L-1이하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대조구인 골판지 상자와 유공포장 처리구의 포장 내 산소, 이산화탄소 및 에틸렌 농도는 대기의 기체조성과 같아 그래프에 언급하지 않았다.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ales/2021-033-03/N0250330302/images/ales_33_03_02_F2.jpg
Fig. 2.

Change in oxygen content of head lettuce packed with 1300 cc, 40,000 cc, and 80,000 cc oxygen transmission rate films; with perforated film; and in a corrugated box and stored for 25 days. Vertical bars represent ± SD (n = 5).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ales/2021-033-03/N0250330302/images/ales_33_03_02_F3.jpg
Fig. 3.

Change in carbon dioxide content of head lettuce packed with 1300 cc, 40,000 cc, and 80,000 cc oxygen transmission rate films; with perforated film; and in a corrugated box and stored for 25 days. Vertical bars represent ± SD (n = 5).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ales/2021-033-03/N0250330302/images/ales_33_03_02_F4.jpg
Fig. 4.

Change in ethylene content of head lettuce packed with 1300 cc, 40,000 cc, and 80,000 cc oxygen transmission rate films; with perforated films; and in a corrugated box and stored for 25 days. Vertical bars represent ± SD (n = 5).

결구상추의 최대 허용 수분 손실률은 5%로 알려져 있다(Kays and Paull, 2004). 본 연구의 외관상 품질은 저장 10일까지 모든 처리구에서 상품성 한계점인 3점 이상을 보였으나, 10일 이후부터 골판지 상자 포장 처리구가 생체중 감소율이 5% 이상이 되면서 3점 이하로 상품성을 잃었다. 저장 최종일인 25일에는 40,000 cc가 3.6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필름 포장한 처리구 중 1.300 cc가 2.9점으로 가장 낮았다. 저장 10일 이후부터 필름포장 유무에 따른 외관의 차이는 분명하게 나타났지만, 필름의 산소투과율에 따른 일정한 경향은 없었다(Fig. 5). 이와 같이 본 연구의 결과는 Chang and Lee(2017)에서 개별 랩핑한 결구상추가 저장 최종일인 21일까지 우수한 외관을 유지했지만 골판지 상자에서는 상품성을 상실했다는 결과와 유사했다. 또한 로메인 상추 어린잎을 다양한 산소투과율의 OTR 필름에 포장한 결과, 본 실험과 유사하게 40,000 cc OTR 필름에서 상품성을 유지하고, 두번째로 높은 외관 점수를 받았다고 보고되어 있다(Jeong et al., 2015).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ales/2021-033-03/N0250330302/images/ales_33_03_02_F5.jpg
Fig. 5.

Change in visual quality of head lettuce packed with 1300 cc, 40,000 cc, and 80,000 cc oxygen transmission rate film; with perforated film; and in a corrugated box and stored for 25 days. Vertical bars represent ± SD (n = 5).

주로 생식으로 섭취하는 결구상추는 씹힘성(chewiness)이 소비자 평가 및 상품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데(Cha et al., 2007), 이와 관련된 경도는 본 연구에서 초기값을 기준으로 일정한 경향 없이 골판지 상자가 가장 높았고, 80,000 cc가 가장 낮게 나타났다(Table 1). MA포장 처리구들은 모두 초기 경도 값보다 감소했는데, 이는 Chang and Lee(2017)의 결과와 일치했으며, Jung et al.(2008)에서처럼 포장 내 산소농도가 낮을수록 높은 경도 값을 보였다. 그리고 결구상추의 저장 중 손실되는 수분으로 인해 조직에 영향을 줄 수 있는데, 유공과 골판지 상자가 초기값보다 경도가 증가한 것은 급격한 수분손실로 인한 조직의 질겨짐으로 인한 것으로 판단된다. 아스파라거스의 경우도 수분손실로 인한 경도의 증가가 보고되어 있으며(Yoon et al., 2018), Cho et al.(2005)도 수분손실로 인한 섬유질화로 숙주나물의 경도가 증가한다고 하였다.

Hunter L* 및 a* 값은 가장 일반적으로 결구상추의 변색을 수치화하는 방법으로 각각 갈변 및 적변의 척도에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astaner et al., 1999). 본 연구에서 L, a*, b값은 모든 처리구가 초기값보다 증가했는데, 값이 낮을수록 진한 녹색을 나타내는 a*값에서 MA 포장 처리구 중 40.000 cc가 초기값에 비해 가장 적게 증가했다. 값이 높을수록 황색을 띄는 b*값에서도 40,000 cc가 초기값 대비 가장 적게 증가하여 잎의 황화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L , a , b 값 모두 처리구간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Table 1). Chang and Lee(2017)도 수확 후 포장조건에 따른 결구상추의 저장 최종일 L*값이 처리구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고, b*값은 초기값보다 증가, a*값은 초기값에 비해 감소하였다고 보고하였다.

Table 1.

Firmness (N), color, and off-odor of head lettuce packed with 1300 cc, 40,000 cc, and 80,000 cc oxygen transmission rate films; with perforated film; and in a corrugated box on the last storage day (25 days at 2°C, 80% ± 5% RH)

Firmness (N) Color Off-odor1)
L* a* b*
Initial 1.06 ab2) 64.24 a -18.40 a 27.42 a -
1,300 cc 1.05 ab 64.80 a -18.11 a 28.54 a 2.2 a
40,000 cc 0.96 b 64.85 a -18.34 a 28.11 a 1.5 c
80,000 cc 0.93 b 64.90 a -18.20 a 30.57 a 1.9 b
Perforated 1.16 ab 65.51 a -18.39 a 31.60 a 1.0 d
Corrugated box 1.36 a 65.64 a -18.00 a 31.19 a 1.0 d

1)Off-odor was measured as follows: 5, most severe, unmarketable; 4, severe; 3, moderate; 2, traceable; 1, little; 0, fresh condition

2)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5% level

이취는 저장 최종일에 MA 저장한 OTR 필름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가장 낮았던 40,000 cc에서 가장 낮았고, 이산화탄소농도가 높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Table 1). 이는 포장 내 혐기성 조건의 결과라 판단되는데, Ioannidis et al.(2018)은 포장 내 혐기성 조건과 효소 lipoxygenase(LOX) 관련 화합물을 생산할 수 있는 이산화탄소의 축적은 악취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를 방지하지 위해서는 포장 내 충분한 산소를 포함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갈변현상은 소비자의 외적인 상품가치와 shelf-life의 판단 기준으로 작용될 수 있으며(Jung et al., 2008), phenylalanine ammonia lyase의 활성으로 인해 생성되는 페놀화합물과 polyphenol oxidase가 결과적으로 quinone으로 전환되어 멜라닌 중합체를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agaert et al., 2007; Rico et al., 2007). 저장 종료일에 흡광도로 측정한 갈변도는 겉잎과 속잎 모두 필름의 산소 투과도에 따른 일정한 경향은 없었지만 속잎보다 겉잎에서 더 높았다. 포장방법별로는 겉잎 및 속잎에서 모두 1,300 cc에서 가장 높고 40,000 cc에서 가장 낮았는데(Table 2), 이는 Lopez-Galvez et al.(1996)에서 언급한 것과 같이 2% 이상의 높은 이산화탄소 농도와 10°C 이하의 온도에서 결구상추 주맥(midrib)부분의 갈변현상이 촉진된다는 보고와 일치하였다. 또한 양상추의 갈변도는 이산화탄소 함량과 높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낸다고 보고된 바 있으며(Hwang, 2018), Chang and Lee(2017)은 개별 랩핑한 결구상추가 골판지상자나 농산물 유통상자에 저장했을 때보다 산소와의 접촉이 적어 갈변도가 낮았다고 보고했다.

Table 2.

Browning index, DPPH, and vitamin C values of head lettuce packed with 1300 cc, 40,000 cc, and 80,000 cc oxygen transmission rate films; with perforated film; and in a corrugated box on the last storage day (25 days at 2°C, 80% ± 5% RH)

Browning index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Vitamin C
Outside Inside Outside Inside Outside Inside
Initial 0.111 c1) 0.105 a 12.52 a 6.69 a 10.82 b 12.85 a
1,300 cc 0.181 b 0.098 a 7.33 b 3.78 b 10.77 b 11.93 a
40,000 cc 0.150 bc 0.073 c 11.58 ab 4.43 ab 10.80 b 12.73 a
80,000 cc 0.169 b 0.092 ab 9.09 ab 4.10 ab 10.20 c 12.04 a
Perforated 0.153 bc 0.080 bc 10.08 ab 6.31 ab 10.61 b 12.76 a
Corrugated box 0.231 a 0.094 ab 11.64 ab 6.37 ab 11.64 a 11.06 a

1)Mean separation within columns by Duncan’s multiple range test at 5% level

항산화활성의 분석에 많이 이용되는 DPPH 라디컬 소거능은 비교적 안정적인 free radical로 방향족 아민류, 항산화제 등에 환원 및 탈색되는 원리로 측정된다(Lee et al., 2008b). 하지만 채소류의 저장 중 항산화성에 대한 변화는 여러가지 성분 간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간단히 설명하기는 어렵다고 알려져 있다(Pereira et al., 2014). 본 연구에서 양상추의 DPPH 라디컬 소거능은 갈변도와 같이 겉잎과 속잎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는데, 전체적으로 겉잎이 속잎보다 소거능이 높았다. Seong et al.(2016)도 배추 잎을 겉잎, 중간잎, 속잎으로 나누어 항산화 활성 및 항산화제 함량을 조사한 결과, 겉잎에서 가장 높았고, 중간, 속잎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고 보고하였다. 겉잎과 속잎의 DPPH 라디컬 소거능은 모든 처리구가 초기값보다 감소하였는데, 기존의 보고에서도 양상추의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항산화성분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Chang and Lee, 2017; Hwang, 2018). 겉잎의 DPPH 라디컬 소거능은 MA 포장 처리구 중 40,000 cc에서 초기값 대비 가장 적게 감소했고 다음으로 80,000 cc, 1,300 cc 순이었으며, 속잎 또한 겉잎과 같은 경향이었다. 하지만 겉잎과 속잎 모두 처리구간 산소투과율 및 포장방법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Table 2). 신선편이 양상추의 MA실험에서도 DPPH 라디컬 소거능과 포장 내 기체조성 중 산소 함량은 높은 정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지만(Hwang, 2018), 필름의 산소투과율과 포장방법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고 하였다(Chang and Lee, 2017; Hwang, 2018).

항산화물질 중 하나인 비타민 C는 갈변의 원인으로 알려진 polyphenol oxidase를 직접적으로 억제하지는 않지만, 멜라닌 중합체를 형성하는 o-quinone을 다시 원래의 o-diphenol로 되돌려 갈변현상을 줄일 수 있다고 한다(Altunkaya and Gokmen, 2008). 또한 polyphenol oxidase와의 경쟁관계로 조직 갈변에 관여한다고 알려져 있다(Doğan and Salman, 2007). 본 연구에서 비타민 C 또한 겉잎과 속잎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으며, 골판지 상자의 겉잎을 제외하고 겉잎과 속잎의 모든 처리구가 초기값보다 감소하였다. 기존 보고에서도 MA 포장한 신선편이 양상추의 비타민 C 함량은 저장기간이 지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Yun et al., 2004). MA 포장 처리구 중에서는 갈변도 및 DPPH와 비슷한 경향으로 겉잎과 속잎 모두 초기값 대비 40,000 cc에서 가장 적은 감소량을 보였으며, 겉잎은 처리구 간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지만 속잎은 차이가 없었다(Table 2). Landi et al.(2013)도 높은 비타민 C 농도가 갈변 형성의 감소와 상관관계가 있다고 하였으며, 신선편이 로메인 상추의 MA포장에서도 높은 비타민 C 농도에서 활성 polyphenol oxidase 활성화과정과 총 polyphenol oxidase 활성이 감소하여 갈변 발생 및 비타민 C 함량의 감소가 억제되었다(Luna et al., 2016). 초기값보다 많은 양의 비타민 C를 나타낸 골판지 상자 처리구의 겉잎은 “Fig. 6”에서 보이는 것과 같이 나머지 처리구들에 비해 생체중 감소율이 가장 높아 수분손실로 인한 일종의 농축효과로 판단된다. 기존 보고에서도 필름 포장하지 않은 파프리카가 필름 포장한 파프리카보다 생체중 감소율이 현저히 높았으며, 비타민 C 함량 또한 초기값보다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Raffo et al., 2007).

https://static.apub.kr/journalsite/sites/ales/2021-033-03/N0250330302/images/ales_33_03_02_F6.jpg
Fig. 6.

Visual of all head lettuce in the different treatments at 2°C (80% ± 5% RH) on the last storage day (25 days).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저장 최종일에 낮은 생체중 감소율과 가장 높은 외관상 품질을 보이며, MA 저장 처리구 중 가장 낮은 이취 및 겉잎과 속잎의 갈변도, 가장 높은 DPPH 라디컬 소거능 및 비타민 C를 나타낸 40,000 cc OTR 필름이 결구상추 MA포장에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농림축산식품부의 재원으로 농림수산식품기술기획평가원의 농식품수출비즈니스전략모델구축사업(IPET319088033CG000)과 2021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임(NRF-2021R1A6A1A03044242).

References

1
Altunkaya, A., Gökmen, V. (2008) Effect of various inhibitors on enzymatic browning, antioxidant activity and total phenol content of fresh lettuce (Lactuca sativa). Food Chem 107:1173-1179. 10.1016/j.foodchem.2007.09.046
2
Bark, D. E., Yoon, Y. N., Woo, Y. J., Cheung, G. H., Hwang, S. B., Park, S. H., Woo, Y. J., Shin, C., Choi, D. S., Lim, J. H., Park, S. E., Lee, J. S. (2015) Freshness comparison of lettuce (Lactuca sativa L.) in accordance with storage and packaging method on high-temperature period. Kor J Packaging Sci Technol 21:35-40. 10.20909/kopast.2015.21.1.35
3
Bolin, H. R., Huxsoll, C. C. (1991) Effect of preparation procedures and storage parameters on quality retention of salad cut lettuce. J Food Sci 56:60-67. 10.1111/j.1365-2621.1991.tb07975.x
4
Castaner, M., Gil, M. I., Ruiz, M. V., Artes, F. (1999) Browning susceptibility of minimally processed baby and romaine lettuces. Eur Food Res Technol. 209:52-56. 10.1007/s002170050456
5
Cha, H.S., Youn, A.R., Kim, S.H., Kwon, K.H., Kim, B.S. (2007) Evaluation of quality and analysis of hazard management at different seasons of lettu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6:932-937. 10.3746/jkfn.2007.36.7.932
6
Chang, M. S., Lee, J. S. (2017) Effects of packaging methods on the freshness during storage of lettuce harvested in summer season of Korea. Korean J Food Preserv 24:159-167. 10.11002/kjfp.2017.24.2.159
7
Cho, S. H., Lee, S. D., Choi. Y. J., Kim, N. G., Kang, J. H., Cho, S. H. (2005) Effects of packaging and storage temperature on quality during storage of mungbean sprouts. Korean J Food Preserv 12:522-528.
8
Choi, I. L., Lee, J. H., Wang, L. X., Roh, Y. H., Park, W. G., Kang, H. M. (2020) Effects of different storage temperatures and films on quality and storability of ligularia stenocephala baby leaf vegetables during MA storage. Kor J Hort Sci Technol 38:261(Abstr.)
9
Choi, I. L., Yoo, T. J., Kang, H. M. (2015) UV-C treatments enhance antioxidant activity, retain quality and microbial safety of fresh-cut paprika in MA storage. Hortic Environ Biotechnol 56:324-329. 10.1007/s13580-015-0141-y
10
Doğan, S., Salman, Ü. (2007) Partial characterization of lettuce (Lactuca sativa L.) polyphenol oxidase. Eur Food Res Technol 226:93-103. 10.1007/s00217-006-0513-8
11
Exama, A., Arul, J., Lencki, R. W., Lee, L. Z., Toupin, C. (1993) Suitability of plastic films for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of fruits and vegetables. Journal of Food Science 58:1365-1370. 10.1111/j.1365-2621.1993.tb06184.x
12
Heimdal, H., Bro, R., Larsen, L. M., Poll, L. (1997) Prediction of polyphenol oxidase activity in model solutions containing various combinations of chlorogenic acid, (-)-epicatechin, O2, CO2, temperature, and pH by multiway data. J Agri Food Chem 45:2399-2406. 10.1021/jf960975w
13
Hwang, B. H., Cho, J. H., Ham, S. S., Kang, H. Y. (2000) Chemical analysis of Pinus leaves.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6-9.
14
Hwang, T. Y. (2018) Quality changes of fresh-cut lettuce with different oxygen permeability of films during storage. J Appl Biol Chem 61:25-31. 10.3839/jabc.2018.004
15
Ioannidis, A. G., Kerckhof, F. M., Drif, Y. R., Vanderroost, M., Boon, N., Ragaert, P., De Meulenaer, B., Devlieghere, F. (2018) Characterization of spoilage markers in modified atmosphere packaged iceberg lettuce. Int J Food Microbiol 279:1-13. 10.1016/j.ijfoodmicro.2018.04.03429715602
16
Islam, M. Z., Lee, Y. T., Mele, M. A., Choi, I. L., Jang, D. C., Ko, Y. W., Kim, Y. D., Kang, H. M. (2019) Effect of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on quality and shelf life of baby leaf lettuce. Quality Assurance and Safety of Crops & Foods 11:749-756. 10.3920/QAS2019.1626
17
Jacxsens, L., Devlieghere, F., Debevere, J. (2002) Predictive modelling for packaging design: Equilibrium modified atmosphere packages of fresh-cut vegetables subjected to a simulated distribution chain. Intl J Food Microbiol 73:331-341. 10.1016/S0168-1605(01)00669-9
18
Jeong, M. J., Choi, I. L., Yoon, H. S., Baek, J. P., Kang, H. M. (2015) Determination of Suitable Film for Several Compositae Baby Leaf Vegetables MAP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using OTR Film. J Agri Life Environ Sci 27:56-60.
19
Jung, J. Y., Shin, S. H., Choi, J. H., Jeong, M. C. (2008) Browning and Quality Changes of Fresh-cut Iceberg Lettuce by Gas Flushing Packagings. Kor J Hort Sci Technol 26:406-412.
20
Kader, A. A. (2002) Postharvest technology of horticultural crops (3nd ed). University of California Agriculture and Natural Resources.
21
Kays, S. J., Paull, R. E. (2004) Postharvest biology: 571.2 K23. P. 568. Athens, GA (EUA).
22
Ke, D., Saltveit Jr, M. E. (1989) Carbon dioxide-induced brown stain development as related to phenolic metabolism in iceberg lettuce. J Amer Soc Hort Sci 114:789-794.
23
Kim, D.H., Kim, S.M., Kim, H.B., Moon, K.D. (2012) Effects of optimized co-treatment conditions with ultrasound and low-temperature blanching using the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on the browning and quality of fresh-cut lettuce. Korean J Food Preserv 19:470-476. 10.11002/kjfp.2012.19.4.470
24
Kim, H. J., Park, J.Y., Back, J. W., Lee, J. W., Jung, S. J., Moon, B. J. (2004a) Occurrence of Bottom Rot of Crisphead Lettuce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and Its Pathogenicity. J Life Sci 14:689-695. 10.5352/JLS.2004.14.4.689
25
Kim, J. G., Luo, Y., Gross, K. C. (2004b) Effect of package film on the quality of fresh-cut salad savoy. Postharvest Biol Technol 32:99-107. 10.1016/j.postharvbio.2003.10.006
26
Kim, J. G., Luo, Y., Yang, T., Saftner, R. A., Gross, K. C. (2005) Effect of initial oxygen concentration and film oxygen transmission rate on the quality of fresh-cut romaine lettuce. J Sci Food Agric 85:1622-1630. 10.1002/jsfa.2158
27
Landi, M., Degl'Innocenti, E., Guglielminetti, L., Guidi, L. (2013) Role of ascorbic acid in the inhibition of polyphenol oxidase and the prevention of browning in different browning‐sensitive Lactuca sativa var. capitata (L.) and Eruca sativa (Mill.) stored as fresh‐cut produce. J Sci Food Agric 93:1814-1819. 10.1002/jsfa.596923184255
28
Lee, J. S., Chung, D. S., Choi, J. W., Jo, M. A., Lee, Y. S., Chun, C. H. (2006) Effects of storage temperature and packaging treatment on the quality of leaf lettuce. Korean J Food Preserv 13:8-12.
29
Lee, J. S., Lee, H. E., Lee, Y. S., Chun, C. H. (2008a) Effect of Packaging Methods on the Quality of Leaf Lettuce. Korean J Food Preserv 15:630-634.
30
Lee, S. G., Yu, M. H., Lee, S. P., Lee, I. S. (2008b) Antioxidant activities and induction of apoptosis by methanol extracts from avocado.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269-275. 10.3746/jkfn.2008.37.3.269
31
Li, H. B., Chen, F. (2001)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nine water‐soluble vitamins in pharmaceutical preparations b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with diode array detection. J Sep Sci 24:271-274. 10.1002/1615-9314(20010401)24:4<271::AID-JSSC271>3.0.CO;2-L
32
Lopez-Galvez, G., Saltveit, M., Cantwell, M. (1996) Visual quality of minimally processed lettuces stored in air or controlled atmosphere with emphasis on romaine and iceberg types. Postharvest Biol Technol 8:179-190. 10.1016/0925-5214(95)00002-X
33
Luna, M. C., Tudela, J. A., Tomas-Barberan, F. A., Gil, M. I. (2016) Modified atmosphere (MA) prevents browning of fresh-cut romaine lettuce through multi-target effects related to phenolic metabolism. Postharvest Biol Technol 119:84-93. 10.1016/j.postharvbio.2016.05.001
34
Mikal, E., Saltveit, M. E., Qin, L. (2008) Heating the ends of leaves cut during coring of whole heads of lettuce reduces subsequent phenolic accumulation and tissue browning. Postharvest Biol Technol 47:255-259. 10.1016/j.postharvbio.2007.06.021
35
Oboh, G. (2005) Effect of blanching on the antioxidant properties of some tropical green leafy vegetables. LWT 38:513-517. 10.1016/j.lwt.2004.07.007
36
Ozgen, S., Sekerci, S. (2011) Effect of leaf position on the distribution of phytochemicals and antioxidant capacity among green and red lettuce cultivars. Span J Agric Res 9:801-809. 10.5424/sjar/20110903-472-10
37
Pereira, G. D. M., Kothe, C. I., Machado, C. C., Lopes, S. M., Flores, S. H., Rios, A. D. O. (2014) Effect of modified atmosphere applied to minimally processed radicchio (Cichorium intybus L.) submitted to different sanitizing treatments. Food Sci Technol 34:513-521. 10.1590/1678-457x.6336
38
Powrie, W. D., Skura, B. J. (1991)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of fruits and vegetables. In B. Ooraikul, M. E. Stiles, & E. Horwood (Eds.).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of food. New York, USA. 169-245. 10.1007/978-1-4615-2117-4_7
39
Raffo, A., Baiamonte, I., Nardo, N., & Paoletti, F. (2007) Internal quality and antioxidants content of cold-stored red sweet peppers as affected by polyethylene bag packaging and hot water treatment. Eur Food Res Technol 225:395-405. 10.1007/s00217-006-0430-x
40
Ragaert, P., Devlieghere, F., Debevere, J. (2007) Role of microbiological and physiological spoilage mechanisms during storage of minimally processed vegetables. Postharvest Biol Technol 44:185-194. 10.1016/j.postharvbio.2007.01.001
41
Ragaert, P., Verbeke, W., Devlieghere, F., Debevere, J. (2004) Consumer perception and choice of minimally processed vegetables and packaged fruits. Food Qual Prefer 15:259-270. 10.1016/S0950-3293(03)00066-1
42
Rico, D., Martin-Diana, A. B., Barat, J. M., Barry-Ryan, C. (2007) Extending and measuring the quality of fresh-cut fruit and vegetables: a review. Trends in Food Science & Technology 18:373-386. 10.1016/j.tifs.2007.03.011
43
Seong, G. U., Hwang, I. W., Chung, S. K. (2016) Antioxidant capacities and polyphenolics of Chinese cabbage (Brassica rapa L. ssp. Pekinensis) leaves. Food Chemistry 199:612-618. 10.1016/j.foodchem.2015.12.06626776015
44
Smyth, A. B., Song, J., Cameron, A. C. (1998) Modified atmosphere packaged cut iceberg lettuce: Effect of temperature and O2 partial pressure on respiration and quality. J Agric Food Chem 46:4556-4562. 10.1021/jf980208s
45
Takahashi, T., Abe, K., Chachin, K. (1996) Effect of air-exposure at low temperature on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browning of shredded cabbage. Part III. Nippon Shokuhin Kogyo Gakkai-Shi, 43:663-667. 10.3136/nskkk.43.663
46
Yang, Y. J., Park, K. W., Jeong, J. C. (1991) The influence of pre- and post-harvest factors on the shelf-life and quality of leaf lettuce. Kor J Food Sci Technol 23:133-140.
47
Yoon, H. S., Choi, I. L., Han, S. J., Kim, J. Y., Kang, H. M. (2018) Effects of precooling and packaging methods on quality of asparagus spears during simulated distribution. Protected Horticulture and Plant Factory 27:7-12. 10.12791/KSBEC.2018.27.1.7
48
Youn, A. R., Kwon, K.H., Kim, B. S., Cha, H.S. (2008) Quality evaluation of minimally processed lettuce (Lactuca sativa L.) according to degree of head forma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40:460-465.
49
Yun, I. J., Park, J. Nam., Joo, J. Ho., Heo, N. K., Jeong, C. S. (2004) Effects of Active MA Packaging on the Reduction of Browing of Fresh-cut Head Lettuce. Kor J Hort Sci Technol 22(Supplement II):45(Abstr.).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