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Article

Journal of Agricultural, Life and Environmental Sciences. 31 December 2023. 411-420
https://doi.org/10.22698/jales.20230033

ABSTRACT


MAIN

  • 서 론

  • 선행연구 검토

  • 이론적 고찰

  •   부속농장 경쟁력 정의(Definition of Competitiveness of Affiliated farms)

  •   경쟁력 평가지표(Competitiveness evaluation index)

  • 연구 방법 및 자료수집

  •   계층화분석과정(Analytic Hierarchy Process)

  •   자료수집

  • 분석 결과

  • 결 론

서 론

최근의 농업환경은 기후변화, 디지털 기술을 근간으로 하는 농업생산기술 및 시설 확대 등 대내외 여건이 급변하고 있는 가운데, 특히 4차산업혁명기술의 도입, 이상 기후에 따른 농산물 재배환경 변화 등 급변하는 농업환경에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대응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우리나라 대학교육에서도 이러한 환경변화에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대응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대학 부속 실습농장은 연구를 통한 학문의 발전 및 산학연 연구를 통한 지역사회의 발전을 도모하고, 학생들의 적극적인 현장실습 지원을 통해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인재를 양성하는데 그 설립목적이 있다. 이에 부속농장이 가져야 할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시대적 변화의 흐름에 부합한 기술 및 시설 등을 갖춰야 하나, 현실적으로 예산확보의 어려움, 예산투자 대비 낮은 성과 등의 이유로 적합한 시설 투입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강원대학교 부속농장도 급변하는 농업환경변화에 적절하게 대응하고 부속 농장이 가지고 있는 본연의 기능을 재편하고 확대・발전시키기 위한 전략 수립이 필요한 상황이다.

일반적으로 대학의 부속농장은 학생실습 및 교수 연구활동을 지원하는 것 뿐만 아니라, 지역활성화를 위한 근거지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국내외 주요 대학에서도 부속농장은 교수 연구활동 지원 및 지역특성에 적합한 농업기술 개발, 농가지도 등에 힘쓰고 있다. 또한 지역사회 발전을 위해 지역주민에게 농장을 개방하여 농업생산 경험 및 현장체험 프로그램 참여를 유도하는 등 부속농장의 역할과 기능을 확대하고 있다.

강원대학교 부속농장은 1987년에 준공되어, 관리사, 저장실 수납사, 유리온실, 곡물 건조기실, 경사지 토양유실 실험실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건물 구축을 통해 부속농장의 기능은 갖췄으나 교육시설로써 몇 가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첫째, 대부분의 농장시설은 전반적으로 노후화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실습을 위한 농장의 연동하우스는 1985년 준공되었으며, 유리온실 또한 1998년에 준공되어 급변하는 환경변화에 대응하기에는 시설환경이 매우 열악한 상황이다. 또한 사용자 안전 및 현장 교육을 위한 기능이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둘째, 부속농장 내 강의실이 없어 강의의 불편함이 증대되고 있다. 부속농장 내 별도의 강의실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여름 및 겨울에도 야외에서 교육이 진행됨에 따라 부속농장을 활용한 현장 강의는 어려운 상황이다. 셋째, 학생 실습 및 교수 연구사업 지원이 미흡한 실정이다. 현재 부속농장의 예산이 부족하여, 수입대체 세입 위주로 운영되고 있다. 따라서 부속농장 본연의 기능을 수행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강원대학교 부속농장은 교수와 학생들에게는 보다 더 효율적인 교육환경을 제공하고, 지역농업의 발전을 견인할 규모의 확대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함께 신규 사업을 추진함으로써 부속농장 경영 내실화를 갖추기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에서 부속농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대학교 부속농장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발전전략을 제시하는데 연구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강원대학교 부속농장의 경쟁력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다음으로 개발된 평가지표의 우선순위를 평가한 이후에, 마지막으로 평가지표와 평가된 우선순위를 바탕으로 강원대학교 부속농장의 경쟁력 강화 및 지속 가능한 발전계획을 수립하는 것을 본 논문의 주요 내용으로 한다.

선행연구 검토

대학 부속농장 관련한 선행연구는 다음과 같다. Oh et al.(1989)는 농업분야는 현장 교육이 무엇보다 필요하며, 종합농장에서 학생들에게 경험에 의한 실질적인 교육 기회 제공을 통해 교육의 질 향상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부속농장의 구성은 실험실습장과 경영농장을 구분하여 운영함으로써 대학농장이 가지고 있는 본연의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합리적 경영체계 확립을 통한 자립운영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Lee and Kim(2002)는 고려대학교 실습농장의 사례를 바탕으로 교수들의 연구와 실습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농장의 적극적인 활용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실습농장의 활용 방안으로는 가족 중심의 여가활동, 기업 등 직장인의 단체 연수 활동 수용, 소외 계층인 노인 및 장애인을 위한 여가 기회 제공 및 환경 교육 등의 방안을 제시하였다.

Jang(2001)은 농장실습에 대한 중요성과 함께 농과대학의 실험・실습장의 재정확보 어려움은 실습시설의 절대 부족현상을 초래하여 그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실정이라고 지적하였다. 이에 전공별 특성화 분야를 중심으로 역할분담과 구조조정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공동 실습장의 운영을 통해 새로운 교육의 장으로써의 부속농장의 역할을 제시하였다.

Kim(2006)은 중앙대학교의 부속농장의 사례를 바탕으로 대학 부속농장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활성화 방안으로 경영합리화를 통한 활성화 유도, 대학내 부속농장 활용 확대를 통한 활성화 방안 수립, 산학협력을 통한 활성화 유도, 수입원의 다양화를 통한 활성화 전략 등을 제시하였다.

이상의 선행연구 검토 결과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을 갖고 있다. Kim(2006)의 선행연구를 제외하고 대다수의 연구가 부속농장 및 실습농장의 활성화 방안이라는 포괄적인 개념에서 접근하였기 때문에 지역의 특성, 지리적위치, 해당 학교의 특성 등의 특수성까지 고려하기에는 부족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강원대학교 부속농장의 구체적인 경쟁력 강화 방안을 도출하기 위하여 성과지표를 개발하여 적용함으로써 지속가능한 국립대학 부속농장으로서의 역할과 기능을 정립한다는 차원에서 연구적 차별성을 지닌다고 할 수 있다.

이론적 고찰

부속농장 경쟁력 정의(Definition of Competitiveness of Affiliated farms)

경쟁력(Competitive power, Competitiveness)은 이윤을 창출하는 기업에서 사용하는 용어로써 수요에 대한 요구(가격, 품질, 수량)를 충족하는 생산물(products)을 판매하기 위한 능력 등으로 정의된다(Latruffe, 2010). 이러한 경쟁력은 보편타당한 선험적 개념이라기보다는 역사적 발전과정을 밟아온 경험적 개념으로, 특정 행위주체가 타 행위주체에 대하여 비교우위에 설 수 있는 능력 또는 역량을 의미한다(Seo, 2009).

대학경쟁력 개념은 전통적인 개별 대학 간의 경쟁우위 관점에서 보면, 하나의 대학이 정해진 시간 안에 경쟁하는 타 대학과 비교하여 인적자원을 효율적으로 개발・육성하고 이를 필요로 하는 타 행위주체에게 제공하는 능력으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대학의 경쟁력은 동일한 목적을 가진 비교대상이 존재할 때 이들 비교 대상간의 생산성, 혁신능력, 제도, 발전 잠재력 등을 비교하여 평가할 수 있다.

대학 부속농장의 경쟁력은 미래농업에 대응한 대학농장 활성화 핵심요인으로써 대학의 고등교육 질을 향상시키는 능력 또는 역량이 매우 중요하지만, 농업은 기상조건과 토양조건에 따라 작물의 적지가 결정되고 예산 및 인력 배정 등에 따라 시설형태도 달라지기 때문에 대학의 부속농장의 경쟁력을 평가할 때에는 해당 부속농장의 특수성을 고려한 현실에 맞는 경쟁력 평가지표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경쟁력 평가지표(Competitiveness evaluation index)

본 논문에서는 강원대학교 부속농장의 최종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경쟁력 평가지표 설정을 위한 주요기능 및 세부기능을 다음과 같이 선정하였다. 주요기능은 교육지원 분야, 연구지원 분야, 산・학・연 공동연구지원 분야로 구분하였고 이와 관련된 구체적인 내용은 Table 1에 제시하였다.

Table 1.

Establishment of competitiveness evaluation indicators for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ffiliated farms

The final goal of the university farm main function Detailed functions
Revitalization of university farms
in response to future agriculture
Educational support Educational support facilities and programs
Educational support personnel
Student satisfaction
Current student utilization rate
Provision of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ies
support of research Number of variety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Number of academic journal papers published
Personnel for research support
Consumer satisfaction
Industry-academic-research
joint research support
Response to future agriculture
Profitability through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Performance through knowledge exchange
Use of the farm

교육지원에 대한 평가지표는 투입과 산출지표로 구분할 수 있다. 교육지원에 대한 투입요소 지표로는 교육지원시설 및 프로그램보유수준, 부속농장에서 교육이 가능하도록 지원해 주는 인적자원 등이 해당된다. 즉, 시설자원과 인적자원의 현황 및 예산투입현황에 대한 지표라 할 수 있다. 또한, 산출요소 지표는 교육지원의 수혜자인 재학생의 농장이용현황 및 만족도, 외부인을 대상으로 하는 평생교육 기회제공 등이 해당된다.

연구지원에 대한 평가지표는 연구수행을 위한 행정 및 인력지원, 연구수행결과인 품종개발 및 학술지 논문 게재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산・학・연 공동연구지원에 대한 평가지표의 설정은 부속농장이 가지고 있는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고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타 주체와의 적극적인 교류 및 학제간 융합을 통한 혁신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방법 및 자료수집

계층화분석과정(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분석은 목표들 사이의 중요도(weight)를 계층적으로 나누어 파악함으로서 각 대안들의 중요도를 산출하는 방법으로 고정비용이나 유동비용과 같은 정량적인 자료 뿐만 아니라 정성적인 자료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AHP분석은 수학적으로 이론이 증명되어 있고 간편하게 실제에 적용시킬 수 있으며 활용의 대상이 다양하다는 특징 때문에 의사결정이 요구되는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활용되고 있는 연구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AHP분석을 이용하여 의사결정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4단계를 거친다.

먼저, 1단계는 의사결정문제의 계층화 과정이다. 의사결정문제를 서로 관련된 의사결정사항들의 계층으로 분류하여 의사결정계층(Decision Hierarchy)을 설정한다. 이 단계에서 문제의 각 요소를 최종목표, 평가기준, 대체안으로 분류하여 여러 의사결정사항들을 계층화한다. 또한, 계층의 최상층에는 가장 포괄적인 의사결정의 목적이 설정되며, 그 다음의 계층들은 의사결정의 목적에 영향을 미치는 서로 비교 가능한 다양한 속성들로 구성되고, 마지막으로 계층의 최하층은 선택의 대상이 되는 의사결정대안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평가기준을 설정함에 있어서 AHP에서는 항목간에 독립성이 유지되고, 상위항목에 대한 하위요인의 종속성이 확보되고, 처리가능한 항목의 수를 유지해야 한다는 상호배타, 완전결합성, 처리성이라는 평가기준선정의 기본원리에 따라야 한다.

2단계는 평가기준을 쌍대비교하는 과정이다. 이 단계에서는 평가기준과 대체안의 중요도를 평가한다. 중요도 평가에는 쌍대비교법이 이용되는데 쌍대비교법은 복수의 비교항목이 있을 경우 그 가운데 임의의 2가지 항목을 선택하여 양자를 상대적으로 비교하는 방법이다. 이 방법은 Table 2와 같은 쌍대비교표를 이용하여 실시하며, 표에서 A, B, C란 3가지의 평가기준 또는 대체안을 평가하는 경우를 가정하고 있다.

Table 2.

Pairwisw Comparision table

comparison Items A B C
A 1 5
B 1/5 1
C

3단계는 가중값을 추정하는 단계이다. 가중값은 Saaty의 가중값 계산방법을 이용하여 의사결정 요소들의 상대적인 가중값을 구하는 과정이다. 이 단계에서는 일관성 지수(CI, Consistency Index)와 일관성 비율(CR, Consistency Ratio)을 이용하여 쌍대비교로 추정된 가중값이 논리적으로 일관성이 있는지를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 일관성 지수(CI)는 λmax-NN-1에 의해 계측되며, 쌍대비교 행렬이 완전한 일관성을 가지면CI값은 0이며 일관성이 낮을수록 큰 값을 가진다. 이와 함께 일관성을 판정하는 또 하나의 지표로써 일관성 비율이 있다. 일관성 비율(CR)은 CIR로 계측되는데 쌍대비교 행렬의CI를 계산한 이후에 무작위 일관성 지수(R)로 나눈 값이다(Table 3).

Table 3.

Random consistency index

matrix size 2 3 4 5 6 7 8 9 10
random consistency index 0 0.58 0.90 1.12 1.24 1.32 1.41 1.45 1.49

마지막으로 4단계는 가중값을 종합하는 과정이다. 4단계에서는 3단계에서 구한 평가기준의 가중값과 대체안의 가중값을 곱하여 의사결정 사항들의 상대적인 가중값을 종합하는 단계이며, 이를 이용하여 평가대상이 되는 여러 대안들에 대한 종합순위를 얻는 단계이다.

자료수집

본 연구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하였다. 표본은 강원대학교 내부 교직원과 외부 전문가로 구분하였다. 조사방법은 비대면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계층화된 설문조사표를 E-mail로 발송한후 30명의 회신을 받았다. 내부 교직원은 강원대학교 교수, 직원, 대학원생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고 20명의 응답을 받았으며, 외부 전문가는 국립대학교에서 학교부속농장과 관련한 업무를 담당한 경험이 있는 대학교수 10명을 대상으로 동일한 문항을 조사하였다. 또한, 각 전문가들의 평가 가운데 일관성지수가 1.0 이하인 22명(내부 교직원 13명과 외부교수 9명)의 전문가들의 조사결과를 이용하여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분석 결과

전체 응답자를 대상으로 강원대학교 부속농장의 평가지표별 중요도 분석 결과, 평가지표별 중요도는 수요자이용만족도가 13.5%로 가장 높았으며, 다음으로 교육지원시설 및 프로그램 10.2%, 학술지논문건수 8.7%의 순으로 나타났다. 상위기준에서는 연구지원(38.0%), 교육지원(34.8%), 산・학・연 공동연구지원(27.2%)의 순으로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하위기준에서는 연구지원 분야의 경우 수요자이용만족도 항목, 교육지원분야에서는 교육지원시설 및 프로그램 항목, 산・학・연 공동연구지원분야에서는 미래농업대응대책 항목의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4).

Table 4.

Importance of each evaluation indicator for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ffiliated farms (Total Respondents)

high standard sub-criteria Total weight converted
to percentage
Items weight Items weight
Educational support 0.348 Educational support facilities and programs0.290.102
Educational support personnel 0.22 0.076
Student satisfaction 0.20 0.069
Current student utilization rate 0.21 0.072
Provision of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ies 0.09 0.030
support of research 0.380 Number of variety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0.19 0.074
Number of academic journal papers published 0.23 0.087
Personnel for research support 0.22 0.084
Consumer satisfaction0.350.135
Industry-academic-
research joint
research support
0.272 Response to future agriculture0.320.086
Profitability through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0.19 0.052
Performance through knowledge exchange 0.20 0.056
Use of the farm 0.28 0.078

한편, 강원대학교 부속농장의 평가지표별 가중치는 평가그룹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부교원을 대상으로 한 분석 결과, 상위기준(연구지원 35.3%, 교육지원 35.1%, 산・학・연 공동연구지원(29.6%)별 동등정도의 중요도를 고려하고 있으며, 연구지원분야의 수요자 이용 만족도지표와 교육지원분야의 교육지원시설 및 프로그램에 대한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5).

Table 5.

Importance of each evaluation indicator for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ffiliated farms (external expert)

high standard sub-criteria Total weight converted
to percentage
Items weight Items weight
Educational support 0.351 Educational support facilities and programs0.340.118
Educational support personnel 0.15 0.052
Student satisfaction 0.19 0.067
Current student utilization rate 0.23 0.081
Provision of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ies 0.09 0.033
support of research0.353 Number of variety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0.24 0.084
Number of academic journal papers published 0.16 0.056
Personnel for research support 0.14 0.050
Consumer satisfaction0.460.164
Industry-academic-
research joint
research support
0.296 Response to future agriculture 0.24 0.072
Profitability through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0.19 0.057
Performance through knowledge exchange0.310.091
Use of the farm 0.26 0.076

내부교원을 대상으로 한 분석 결과에서는, 상위기준(연구지원 40.7%, 교육지원 33.1%, 산학연공동연구지원 26.2%)별로 중요도에 차이가 있으며, 특히 연구지원에 대한 중요도가 외부교원이나 내부직원에 비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평가지표의 연구지원 분야에서는 학술지 논문건수, 교육지원에서는 교육지원시설 및 프로그램, 산학연공동연구지원에서는 미래농업대응대책에 대한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6).

Table 6.

Importance of each evaluation indicator for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ffiliated farms (internal professor)

high standard sub-criteria Total weight converted
to percentage
Items weight Items weight
Educational support 0.331 Educational support facilities and programs0.300.099
Educational support personnel 0.23 0.078
Student satisfaction 0.20 0.066
Current student utilization rate 0.19 0.064
Provision of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ies 0.07 0.024
support of research0.407 Number of variety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0.14 0.058
Number of academic journal papers published0.320.129
Personnel for research support 0.25 0.102
Consumer satisfaction 0.29 0.118
Industry-academic-
research joint
research support
0.262 Response to future agriculture0.380.099
Profitability through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0.19 0.050
Performance through knowledge exchange 0.15 0.038
Use of the farm 0.29 0.075

내부직원은 상위기준(교육지원 42.6%, 연구지원 35.0%, 산학연공동연구지원 22.3%)별로 중요도에 차이가 있으며 특히 교육지원에 대한 중요도가 외부교원이나 내부교원보다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평가지표 중 교육지원 분야에서는 교육지원인력수, 연구지원에서는 연구지원인력수, 산학연공동연구지원에서는 산학연농장이용건수의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Table 7).

Table 7.

Importance of each evaluation indicator for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ffiliated farms (internal faculty)

high standard sub-criteria Total weight converted
to percentage
Items weight Items weight
Educational support0.426 Educational support facilities and programs 0.10 0.041
Educational support personnel0.540.229
Student satisfaction 0.15 0.063
Current student utilization rate 0.12 0.050
Provision of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ies 0.10 0.044
support of research 0.350 Number of variety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0.23 0.080
Number of academic journal papers published 0.11 0.038
Personnel for research support0.490.171
Consumer satisfaction 0.17 0.061
Industry-academic-re
search joint research
support
0.223 Response to future agriculture 0.31 0.069
Profitability through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0.17 0.038
Performance through knowledge exchange 0.17 0.038
Use of the farm0.350.079

다른 한편, 강원대학교에서 부속농장을 활성화하기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개발한 평가지표의 중요도를 바탕으로 평가점수를 배정하였으며, 평가점수 배정기준은 다음과 같다(Table 8).

Table 8.

Setting up evaluation indicators for Kangwon National University affiliated farms

high standard sub-criteria Total weight
converted to
percentage
Evaluation
points
Items weight Items weight
Educational
support
0.348 Educational support facilities and programs0.290.10210
Educational support personnel 0.22 0.076 7
Student satisfaction 0.20 0.069 7
Current student utilization rate 0.21 0.072 7
Provision of lifelong education opportunities 0.09 0.030 -
support of
research
0.380 Number of variety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0.19 0.074 7
Number of academic journal papers published 0.23 0.087 8
Personnel for research support 0.22 0.084 8
Consumer satisfaction0.350.13515
Industry-
academic-
research joint
research support
0.272 Response to future agriculture0.320.0869
Profitability through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0.19 0.052 5
Performance through knowledge exchange 0.20 0.056 5
Use of the farm 0.28 0.078 7
Qualitative evaluation 5
Sum 100

첫째, 평가점수 배정 대상 지표를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강원대학교 부속농장 평가지표의 중요도 조사항목을 고려하여 평가항목을 조정하였고, 설문조사 결과 가중치 값이 5% 미만인 평가지표는 중요도의 비중이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어 해당 지표(평생교육기회)를 평가항목에서 제외하였다.

둘째, 평가지표별로 점수를 배정하였다. 각 지표의 배점 기준은 종합가중치 값을 근거로 배정하였고, 정성평가 배점을 따로 두어 정량적으로는 판단하기 어려운 정성적인 평가를 반영할 수 있도록 하였다

셋째, 강원대학교 부속농장의 평가지표별 달성목표를 연초에 설정하고 다음으로 목표 대비 달성도를 측정하여, 강원대학교 부속농장 경쟁력 강화를 위한 평가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결 론

본 연구의 목적은 강원대학교 부속농장의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발전전략을 제시하는데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강원대학교 부속농장의 경쟁력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다음으로 개발된 평가지표의 우선순위를 평가한 이후에, 마지막으로 평가지표와 평가된 우선순위를 바탕으로 강원대학교 부속농장의 경쟁력 강화 및 지속 가능한 발전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도출된 예비 평가지표를 강원대학교 부속농장 관련자들과의 면담조사를 통하여 구체화하였다. 다음으로 구체화된 평가지표를 이용하여 강원대학교 내부 교직원과 외부 전문가에게 설문조사표를 발송하였으며 회수된 응답을 이용하여 평가지표의 중요도를 평가하였다. 이렇게 도출된 평가지표와 평가지표의 중요도를 이용하여 강원대학교 부속농장의 발전계획을 수립하였다.

분석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전문가 집단별로 중요하게 여기는 평가지표는 다르게 나타났다. 즉, 강원대학교 교원집단에서는 상위기준에 있어서 ‘연구지원’기능을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반면, 대학농장 관련 내부직원 집단에서는 ‘교육지원’기능을 가장 중요한 지표로 선정하였다. 하위기준에 있어서도 교원집단에서는 ‘학술지논문건수’나 ‘연구지원인력수’ 등 연구분야 평가지표의 중요도를 평가한 반면, 내부직원 집단에서는 ‘교육지원인력수’나 ‘연구지원인력수’ 등 예산과 직결되는 지표를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강원대학교 부속농장이 미래농업에 대응한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평가지표의 우선순위에 따라 성장단계별로 경쟁력 강화 전략을 수립하였으며, 단계별 전략은 다음과 같다.

첫째, 부속농장은 단기적으로 교육적 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강원대 부속농장의 시설수준은 매우 낙후되어 있어, 현장교육을 수행할 수 없는 형편이다. 따라서 교육에 필요한 ‘교육지원시설 및 프로그램’의 확보가 우선적으로 필요하며, 이를 위한 지속적인 예산확보가 절실한 상황이다. 또한, 시대적 변화에 적합한 디지털기술 기반의 스마트팜, 식물공장(vertical plant) 등의 도입이 필요하고, 시설 도입 이후에도 시설을 지속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과 및 비교과 프로그램을 마련해야 할 필요가 있다.

둘째, 중기적 접근으로는 연구기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대학은 지식기반사회에 있어서 연구기능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강원대 부속농장의 연구기능을 강화하여, 대학농장에서 수행한 연구결과물의 기술이전을 통한 부가가치창출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강원대 부속농장의 연구지원은 미흡한 실정이다. 부속농장의 예산이 부족하여, 해당 예산을 연구지원으로 활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이 사실이다. 강원대 부속농장을 활용한 연구과제를 수행할 수 있는 제도마련이 필요하며, 이와 함께 연구과제 수행에 따른 연구결과를 성과로 연계시켜, 이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제도가 필요하다. 즉, 부속농장에서의 연구과제 및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인센티브를 제공하여 지속적인 연구 및 사업이 진행될 수 있도록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장기적 접근으로는 미래농업 대비 산・학・연 협력클러스터(가칭, ‘이노캠퍼스팜’) 구축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산・학・연 협력은 부속농장 평가지표의 상위기준의 하나인 ‘산학연공동연구지원기능’을 의미한다. 산・학・연공동연구지원기능은 기후변화, 북방농업 등의 미래농업을 대비한 산・학・연 협력체계를 구축하여 세미나, 포럼 등의 지식교류를 활발히 하거나, 미래농업에 대한 대응대책을 면밀히 수립하는 것 등을 의미한다. 부속농장은 산・학・연 공동연구지원기능의 수행을 통해, 최종적으로는 지역발전에 기여할 수 있는 산・학・연 협력 클러스터를 구축하는 것을 장기적 목표로 설정할 필요가 있다. 산・학・연 협력 클러스터인 ‘(가칭)이노캠퍼스팜’은 대학농장의 유휴부지를 미래농업 중심단지로 육성하는 것이다.

강원대 부속농장이 춘천시 전역에 산재되어 있어, 관리가 어렵고, 사용을 제대로 하지 않는 경우 기획재정부 환수대상이 될 위험이 있으므로, 해당 부지의 적정사용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에, ‘(가칭)이노캠퍼스팜’은 지리적한계로 사용의 어려움이 있는 부속농장 부지에 민간기업체를 입주시켜, 대학농지를 활용하는 전략이다. 대학은 해당 기업체에게 토지 사용료를 받고, 해당 기업체는 대학의 졸업생을 고용함으로써, 최종적으로는 부속농장을 통해 지역발전을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강원대학교 부속농장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평가지표를 개발하고 기능별 우선순위를 설정하여, 강원대학교 부속농장의 기능을 재정립하였다. 본 연구는 강원대학교 부속농장이 미래농업에 대응하기 위한 전략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대학농장 평가에 있어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지표를 이용하여 타 대학과의 공통점 및 차이점을 파악하지 못한 것은 본 연구의 한계로 판단된다. 실질적으로 각 대학 부속농장의 비교분석을 위해서는 각각의 대학농장의 내부자료가 필요하나, 보안의 문제로 자료수집이 어려운 실정이다. 추후 연구에서는 각 대학농장의 공개자료를 통해 동일한 평가지표 개발 및 대학농장별 경쟁력 강화 방안 수립이 요구된다.

Acknowledgements

본 연구는 강원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의 재원으로 한국농수산대학교에서 수행한 ‘강원대 농장 경쟁력 평가지표’ 연구결과 일부임.

References

1
Jang, K. M. (2001) Current Status and Shared Ownership of Agricultural College Research Farms in Korea. KJAMP 28:324-343.
2
Kim, S. S. (2006) A Study on the Effective Management of CHUNG-ANG University Farm.
3
Latruffe, L. (2010) Competitiveness, Productivity and Efficiency in the Agricultural and Agri-Food Sectors. OECD Food, Agriculture and Fisheries Working Papers no. 30: OECD Publishing.
4
Lee, K. W., Kim, M. K. (2002) Plan to create a natural ecology learning center,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People, Plants and Environment.
5
Oh, S. D., Choi, K. G., Hur, S. N., Paik, Y. K. (1989) Study on the model of Experimental Farm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for Enhancement of Agricultural Education. JALS 20:9-29.
6
Seo, Y. I. (2009) Development of the Indicators for University Ranking System. JEAP 27:405-427.
페이지 상단으로 이동하기